티스토리 뷰

뉴스

[뉴스] 은행권 30대 희망 퇴직

봄비A 2023. 8. 17. 23:58
반응형


높은 이자수익으로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은행에서 30대 직원까지 일찌감치 퇴직하려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실적 호조로 퇴직금도 함께 늘어난 것이 배경으로 지목된다. 점포 축소로 인력을 줄여야 하는 은행의 입장과 조기 은퇴를 통해 높은 퇴직금을 챙긴 뒤 '인생 2막'을 시작하려는 임직원의 수요가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IMF 때 정년 못 채우고 40대에 명예퇴직하는 사람이 늘면서 '45세 정년'이란 뜻의 '사오정' 같은 신조어가 생겼었는데, 그런데 이젠 명퇴 나이가 30대까지 내려왔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한은행 노사는 희망퇴직 조건 등에 합의하고 이르면 이번 주말부터 다음 주 초까지 사나흘 정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신한은행이 연초 희망퇴직과 별도로 하반기에 희망퇴직을 진행하는 것은 지난 2021년(상반기 224명, 하반기 133명) 이후 2년 만이다.

대상은 부지점장 이하 모든 직급의 근속연수 15년 이상, 1983년생 이전 출생 직원이다. 올해 생일이 지났다면 만 40세, 지나지 않은 경우 만 39세 직원까지 스스로 퇴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만 39세는 신한은행 역대 희망퇴직 대상 연령 기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서 올해 1월 이뤄진 희망퇴직에서 최고 출생 연도 조건이 1978년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7개월여 사이 대상 나이가 5년이나 어려졌다.

최종적으로 희망퇴직 대상자로 선정되면, 연차와 직급에 따라 9~36개월 치 월평균 급여를 특별퇴직금으로 받고 이달 31일 은행을 떠난다.


하나은행은 최근 하반기 희망퇴직 절차를 마무리했다. 만 15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최종적으로 60명이 퇴직했다.

이들은 최대 28개월치 월평균 급여를 특별퇴직금으로 수령했다. 1968~1971년생 퇴직자에게는 자녀학자금, 의료비, 재취업, 전직 지원금도 지급됐다.

고금리 기조 속에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실적을 냈는데도 직원은 줄이고 있는 것이다. 은행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의 영업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면서 기존 창구 위주의 인력을 줄일 필요가 커진 결과로 풀이된다.

상당수가 고액 연봉자라는 점에서 고용 유지보다 희망퇴직이 경영상 더 낫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주요 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 원이 넘는다.

또는 최근 희망퇴직 수요가 늘어나는 데는 직원들의 자발적 수요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은행권의 실적 호황으로 평균 급여액이 늘어나면서 퇴직금도 자연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한편 금융위원회의 '5대 은행 성과급 등 보수체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의 2022년 1인당 평균 총퇴직금은 5억 4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총퇴직금은 2021년보다 3000만 원 늘었다.

 

반응형